VirtualLab

유감...T_T

위키옵틱스 2016. 4. 3. 10:41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올 1사분기는 산업부 과제 준비하느라 정신이 없었습니다. 결과는 미끄러졌지만...T_T...


빛의 회절과 간섭등 기하광학의 계산에서는 알 수 없는 분야의 설계 소프트웨어로 VirtualLab이 있습니다.

광스토리지에서는 diffract라는 소프트웨어로 계산을 했는데, 사용하기가 어렵고 다양한 광학 요소를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에 반해 VirtualLab은 말 그대로 "가상의 실험"을 구현할 수 있어 사용이 쉬운 편입니다.


저희 회사에서도 laser beam shaping관련해서 여러가지 설계에 필요해서 VirtualLab을 구매했습니다. 

Micro lens array를 이용한 beam shaping을 할 경우에 레이저를 사용하면 간섭무늬가 발생하는 데 이에 대한 고려가 많이 필요합니다.

계산량이 많다보니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게 되어 이번에 무려 126GB의 메모리로 upgrade했습니다.


일단, 프로그램을 돌려 보기로 하고 Excimer laser를 이용해서 LTPS(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에 사용한 long axis homogenizer를 구성했습니다.


Beam homogenizer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이를 VirtualLab으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Field lens가 없는 경우인데, 이경우는 FEL과 Detector 사이의 거리를 Field lens의 초점거리로 두면 됩니다. 간섭무늬가 위의 수식과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의 결과는 FEL의 수가 몇 개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번에는 메모리의 영향을 보기 위해서 상당히 많이 늘려서 해 보았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오른쪽 하단에 사용하는 메모리가 뜨는데 무려 50~60GB를 사용하는 군요. 하여튼 별 문제없이 시작을 했습니다.



문제는 계산이 방대해서 그런지 시간이 너무 오려 걸립니다. Expander에서 MLA까지 110mm진행하는 데 일주일 정도 걸리더니 결국은 error 메시지를 날리고 맙니다.





결국 이런 방식으로는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을 것 같아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할 것 같습니다. 열흘정도 참을성 있게 기다렸는데 허탈하기도 하고...T_T...


Excimer laser의 경우 간섭성이 좋지 않아서 이런 부분은 큰 고민없이 진행해도 무관합니다만, 하여튼 속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