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cs

회절한계 MTF와 FNO

위키옵틱스 2019. 1. 26. 17:49

안녕하세요.

최근에 Telecentric lens system을 설계할 일이 있어서 열공중입니다. 설계하다보니 system의 NA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광학계 설계에서 도달가능한 해상도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겠지요. 오늘은 MTF 계산할 때 나오는 Diffraction limited MTF를 NA 또는 FNO에 따라 계산해 보았습니다. 최초 설계할 때 상당히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문헌은 Goodman의 Introduction to Fourier Optics 3판으로  6장 Frequency Analysis of Optical Imaging Systems 의 식6-32을 이용해서 excel로 작성했습니다. 파장 550nm일 경우 FNO에 따라 MTF를 구하면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상용툴을 이용해 확인해 보니 잘 맞습니다.

파일을 첨부했으니 잘 활용했으면 좋겠습니다.

20190126 Diffraction limited MTF vs FNO.xls



분해능의 기본은 Ernst Abbe의 공식입니다. 아래 사진은 Jena에 있는 기념물입니다. ^^ 독일 광학의 빛나는 업적이자 시작...



20190126 Diffraction limited MTF vs FNO.xls
0.05MB

'Op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섬유  (0) 2020.10.21
Cosine 4th rule  (0) 2020.04.18
소멸간섭과 에너지 보존 법칙  (0) 2016.12.24
마이켈슨 간섭계  (0) 2016.09.13
렌즈의 복굴절  (0) 2016.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