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LED를 이용한 Kohler 조명 모듈을 만들어서 고객사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좀 많이 나가서 사업에 기여를 해 주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네요.
Critical illumination과 Kohler illumination을 잘 비교해서 정리해 놓은 자료가 있습니다.
http://www.asiimaging.com/downloads/manuals/Epi-Illumination%20on%20the%20RAMM.pdf
Critical illumination 대비 Kohler illumination은 조명이 고루게 분포한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광효율은 좋지 않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저희가 만든 제품은 사용하는 대물렌즈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광효율이 수%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이 조명은 LED의 발광면을 대물렌즈의 back focal point에 결상시켜야 합니다. 불행히도 이 사양을 대물렌즈 제조사가 잘 알려주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아래 그림은 back focal plane에 LED 발광영역이 결상된 것을 보여줍니다.
QIOPTIQ사의 대물렌즈 사양에는 아래처럼 이 부분을 명확하게 정리해서 알려줍니다. 사양이 비슷하면 BFP 또한 비슷할 것으로 유추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현미경용 조명 설계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Machine vis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키옵틱스 최초의 machine vision용 카메라 렌즈 LS4-100 개발 (0) | 2015.08.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