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Microvision projector engine에 들어가는 RGB module 사진을 올려 봅니다.
Pioneer의 HUD에 들어가 있는 프로젝터가 Microvison社 제품입니다. 요즘에는 DMD를 사용한 제품도 있다고 합니다.
매우 compact한 구조를 갖고있습니다. 통상 LD를 사용할 경우 x,y,z 조정에 각도조정을 더해서 4가지 정도 조정 요소가 있는데,
그림을 보면 z축 조정만 한 것으로 보입니다. RGB align error는 software적으로 처리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Red LD가 open package로 되어있는데, 이 제품 개발당시에는 직경 3.8mm이하의 LD가 없지 않았나 싶습니다. 현재는 Oclaro社에서 나오는 제품이 있습니다. 구조상 Collimator lens의 NA는 0.2이하정도가 될 것 같고, 렌즈의 형태가 약간 비정상적입니다. Working distance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어떻게 아냐구요? ^^ 통상 collimator lens의 볼록한 부분이 평행광 부분에 위치해서 수차가 적어집니다. 그런데, 반대로 되어있어요. 주점의 위치를 뒤로 빼서 조금이나마 working distance를 늘리려는 노력이 보입니다. 수차는 비구면으로 해결하고요. 하지만, 딱히 좋아보이지는 않습니다.
MPD는 2종류를 사용했는데, Blue와 Green의 sensitivity가 겹치는 바람에 이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보입니다. 겹치더라도 green광에의한 blue sensor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algorithm을 사용하면 LD power control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만.
MPD는 Hamamatsu사 제품을 사용한 것 같은데, color filter의 형태로 보아서 주문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Green과 나머지 LD의 편광 방향이 수직으로 다르고, 광분포도 다르게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Green LD의 광분포가 수평방향으로 되어있는 것은 MEMS mirror의 구조상 효율면에서는 그다지 좋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다른 이유가 있었겠죠... 궁금하네요. ^^
하여튼 이전 제품과 비교해서는 생산성이 월등이 높아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경의를 표하고 싶습니다.
'Pico projector'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y's eye lens (0) | 2015.03.06 |
---|---|
Laser’s interference pattern (0) | 2015.01.05 |
UMJI laser pico-projector proto (0) | 2013.03.11 |
Osram launches their first direct green diode lasers (0) | 2012.10.19 |
Projection Displays - 2nd Edition. (0) | 201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