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osight·Wikisight

Holosight 개발 근황~~

위키옵틱스 2021. 3. 17. 16:31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희가 개발중인 Holosight의 근황과 함께 홀로그램의 특성에 대해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

먼저, Holosight가 무엇인지 잘 모르는 분을 위해, 최근 방영중인 드라마 "시지프스"에 대한 글을 공유합니다.

entertain.v.daum.net/v/20210219135810322

 

'시지프스' 박신혜·조승우의 하드캐리, 도대체 이 세계관은 뭘까

[엔터미디어=정덕현] '하나의 세계, 두 개의 미래.' JTBC 10주년 특별기획 <시지프스>에 대해 포스터의 문구는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아직 알 수 없지만, 미래는 회복이 불가

entertain.v.daum.net

소총위에 조준경이 있는데, 이 제품이 미국의 이오테크에서 만든 Holosight입니다. 수 많은 영화나 드라마에서 나오는 제품으로 미국에서만 생산하고 있는데, 근접전에 장점이 많다고 합니다.

 

저희가 최근 만든 제품 이미지를 보죠. 피카티니 레일에 장착한 모습입니다.

그럴 듯 한가요? 디자이너의 노력이 들어간 것이라 작년에 만든 제품에 비하면 맵시가 나죠? 한 번 비교해 보죠.

왼쪽이 기구엔지니어가 나름 이쁘게 설계한 작년 모델인데 차이가 꽤 납니다.^^ 아래 사진은 홀로그램 레티클을 보여줍니다. 레티클 패턴을 사진으로 잘 찍기가 어렵네요. T_T

홀로그램은 재생할 때도 만들 때 사용한 파장과 동일한 파장을 사용해야합니다. 다른 파장이 섞이면 이미지가 퍼지게 됩니다. 그래서 반드시 단파장인 레이저를 사용하게 됩니다.

 통상 레이저는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문턱전류를 넘어서 사용하는데, 이 때 유도방출에 의해 단파장의 레이저가 발생합니다. 문턱전류 이하에서 구동하면 LED 모드라고 해서 발광 스펙트럼이 넓어지게 됩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문턱전류값은 대략 15mA 정도인데, 전류에 따른 스펙트럼을 분광기로 측정한 결과를 아래 그림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5mA나 10mA의 경우 스펙트럼이 매우 넓지요.

 

  스펙트럼의 분포에 따라 홀로그램이 어떻게 재생되는지 궁금하시죠? 아래 그림은 각각의 사용전류에 따른 홀로그램 재생상입니다. 맨 왼쪽은 상이 너무 많이 퍼져있죠. 문턱전류를 넘긴 것으로 보이는 맨 오른쪽 그림은 매우 깨끗한 레티클을 보여줍니다. 가운데 점이 각도로 2분정도 되는 크기입니다. 

 흔히 실험할 때 레이저의 문턱전류를 넘지 않고 사용하면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보여드린 스펙트럼의 분포 차이가 어떤 결과를 보여주는 지 잘 아셨을 것 같네요.

 

 이게 마지막 제품이라고 "협박"했는데  먹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만들고 나니 또 다시 수정할 부분들이 나타나네요. T_T ... 이젠 끝내고 싶다~~

'Holosight·Wiki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ngle-mode laser diode의 가간섭거리(coherence length)  (0) 2021.06.04
WikiSight  (0) 2020.05.17
홀로그램 재생상  (0) 201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