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픽업에 많이 사용되는 focus servo 방식인 비점수차법을 활용할 경우가 꽤 있습니다. 광픽업 기술을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분야이고 제가 제일 쉽게 할 수 있는 설계입니다. 위의 그림은 한국기계연구원에서 보내준 것입니다. 상당히 NA가 작은 대물렌즈를 사용했고, servo용 PDIC는 BD player에 사용하는 3 파장 PDIC를 사용했습니다. 많은 경우에 대략 100um 폭을 갖는 4분할 PDIC가 가장 적절합니다. 이런 사양의 PDIC를 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보통 광픽업 설계할 때 가장 긴장을 많이 할 때가 S curve를 확인할 때입니다. 보통 고객 사양에 맞추어 PDIC pattern을 재설계하는데, 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어가죠. S curve가 나와서 servo를 붙있을 수 있으면 일단 큰 문제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광픽업(Optical he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절렌즈 설계 (0) | 2019.05.16 |
---|---|
연세대 CISD 앞에서 (0) | 2013.08.23 |
뉴스) 삼성전자, ODD사업도 접는다..比 생산법인 매각 (0) | 2012.06.05 |
PU용 grating 설계와 E-F위상 (0) | 2012.03.19 |
1999년 DVD-ROM 설계 (0) | 2012.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