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03

Pentaprism

올 해 신규과제로 rotating laser transmitter(leveller)를 개발하면서 펜타프리즘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이 부품은 입사광과 출사광이 90도가 되도록 하는데, 입사광에 대해 프리즘이 같은 입사평면에서 돌아가 있더라도 출사광의 각도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조립할 때 자세를 신경쓸 필요가 없습니다. 자료중에 이 프리즘의 제작오차에 의한 deviation이 3"(초)이내의 부품을 사용한다고 하여 이 건 정말 어려운 이야기가 아닐까 생각했고 자료의 신뢰성에도 조금 의심을 가진 채 있었습니다. 그래서, 프리즘 제작오차를 5'(분)정도 있다고 보고 이를 보상할 방법에 대해 구상하고 있었습니다. 어쨌든 이렇게 해야 가격 경쟁력이 있으니까 반드시 해야하는 일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Optics 2022.07.15

공장이 완전히 탈바꿈했습니다.

저희 회사의 공장인 유타워 205호의 모습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사무실 공간을 완전히 한 곳으로 몰고 기존의 안저카메라 생산라인을 바깥으로 빼면서 모듈 조립 라인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Spot analyzer등 새로운 장비를 들여 놓아서 대단히 조밀하지만 좀 더 정리된 모습을 갖추었지요. 생산 및 품질은 확실히 자리 잡은 것 같습니다. 판매만 잘 하면...

Spot analyzer

이번에는 spot analyzer에 대해 소개하려고 합니다. 저희가 국가R&D과제로 대물렌즈를 개발하고 있는데, 대물렌즈 평가장비로 spot analyzer를 만들었습니다. Spot analyzer는 대물렌즈에 의해 형성된 spot의 형태를 관찰하여 수차 분석을 하는 것입니다. 과거의 일입니다만, 광저장장치인 CD, DVD용 광픽업을 만들 때 이런 장치를 사용했습니다. 제가 대우전자에 있을 때는 검토만 하고 구매를 하지 못했는데, 삼성전기로 옮겼더니 그 값비싸고 육중한 장비가 생산 장비로 많이도 있었죠. 광픽업의 대물렌즈가 틀어져서 코마 수차를 발생하지 않도록 각도를 조정하고 고정하는 장치입니다. 그래서 spot skew라는 이름이 더 적절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로 DVD의 spot size는 1um..

Optics 2022.05.24

NIR 영역에서의 렌즈 설계와 glass expert

안녕하세요. 오늘 글 하나 더 올려야지~~ 지난 해부터 NIR 파장대역의 렌즈 설계를 하고 있습니다. 하나는 대물렌즈이고 또 다른 하나는 hyperspectral imaging lens인데요. 파장의 범위가 365nm~1014nm를 벗어난 경우에 렌즈 재질 선정에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이 범위를 벗어난 경우의 굴절률 데이타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렌즈 설계에 어려움이 있는데요. 먼저, CodeV에서는 아래와 같은 warning message를 보여줍니다. "Warning: For wavelengths outside the 365.000 - 1014.000 range, the Laurent dispersion formula can produce refractive index errors in excess ..

CODE V 2022.04.11